유월절은 유대 최대의 명절이다. 우리로 치면 일본에서 독립한 광복절의 의미를 가지지만, 하나님의 능력을 경험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훨씬 크다. 유대인들은 이집트를 탈출할 때에 누룩을 넣지 않은 빵과 양고기를 서서 먹으면서 밤을 지샜다. 그래서, 유월절에 이어서 무교절 기간이 시작된다. 가끔 이 둘을 혼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장재일 목사가 기독신문에서 이 이슈를 명쾌하게 설명했다.
유대인들은 하루가 해지면서 시작한다고 본다. 그리고 달력은 음력을 사용한다. 전세계적으로 전통적인 달력은 음력이 보편적이다. 아마도 규칙적으로 모양이 변하는 달을 보면서 시간의 흐름을 기록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리라. 하지만, 하루가 해지면서 시작한다는 유대인의 사고는 뭔가 더 사연이 있을 것같다. 연구대상이다.
기독신문 기사 <유교절은 1일, 무교절은 7일. 히브리인 하루는 ‘저녁부터 다음날 저녁까지’> 의 일부.
http://www.kidok.com/news/articleView.html?idxno=79338
1.유월절은 하루다.
먼저 유월절 기간을 알기위해서는 ‘유월’이라는 의미를 먼저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유월이란 히브리어로 페사흐라고 말한다. 페사흐라는 단어는 ‘넘어갔다’는 뜻이며 그 이름이 붙게 된 이유는 애굽(이집트)에서 죽음의 천사가 어린양의 피가 문설주에 묻힌 집은 넘어감으로 그 집안에 있는 사람들은 생명을 유지할 수 있었던 바로 그 밤을 기념하는 데서 기인한 것이다.(출 12:27) 이 날은 보통 니산월 14번째 날 저녁에 행해진다.(레 23:5) 결국 유월 즉 페사흐라는 단어가 붙여진 이유는 죽음의 천사가 어린양의 피가 발려진 집을 넘어간 것을 기념하는 절기이며 14일 저녁을 말한다.
이렇게 유월절이 14일 저녁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말하면 에스겔 45장에서 말씀하는 유월절을 7일 동안 지키라는 것에 대해 이해가 안 될 것이다.(겔 45:21) 하지만 이것은 유대인들 사이에서 흔히 있는 관용적 표현이다. 유월절은 14일 저녁이지만 그것과 연결된 무교절이 7일을 지켜야하는 상황에서 무교절을 7일을 지키라고 말하기도 하지만 유월절을 7일을 지키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렇다고 해서 그 의미를 이해 못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은 마치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2013년 설 명절을 이야기할 때의 상황과 비슷하다. 실제적으로 설(구정)은 2월 10일이지만 2월 9~10일 기간이 설 명절이라고 이야기해도 충분히 이해하고 알아들을 수 있는 이치와 같다.
2.무교절은 7일이다.
무교절 기간을 명확하게 언급한 성경은 레위기와 출애굽기이다. 먼저 레위기 23장에서는 ‘이 달(니산월) 열 닷샛날’이라고 언급하고 있다.
이 달 열 닷샛날은 여호와의 무교절이니 이레 동안 너희는 무교병을 먹을 것이요(레 23:6)
하지만 출애굽기 12장 18절에서는 ‘그 달(니산월) 열 나흗날 저녁부터 이십일일 저녁까지’라고 되어 있다.
첫째 달 그 달 열 나흗날 저녁부터 이십일일 저녁까지 너희는 무교병을 먹을 것이요
하지만 출애굽기 12장의 말씀대로 날짜를 세어보면 14일부터 21일까지 모두 8일이 된다. 그래서 무교절은 7일이어야 한다는 말씀에 위배된다.
3.절기의 하루를 세는 방법
히브리인들이 날을 세는 방법은 우리가 날을 세는 방법과 다르다. 특히 절기를 비롯하여 시기를 계산하는 방법은 우리의 방법과 너무 차이가 난다. 안식일을 구별하는 방법을 떠올려 보자. 안식일은 금요일 저녁에서부터 시작하여 토요일 저녁이 되기 전 까지라고 정해져 있다. 즉, 히브리인들이 절기의 하루를 세는 방법은 태양력의 날을 세는 방법과는 달리 그 날 저녁이 되는 시점에서부터 시작하여 다음날 저녁이 되기 전까지의 시점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무교절을 세는 시점은 니산월 14번째 날 저녁이 되는 시점에서부터 7일을 세어야 한다. 그래서 21일 저녁이 되기 전까지의 세어서 히브리적 개념에서 절기의 7일의 기간이 무교병을 먹는 기간이 된다.
그래서 무교절 첫째 날이란 유월절 만찬을 먹는 14일 저녁부터 시작하여 15일 해지기 전까지의 기간을 의미하게 된다. 여기에 대한 증거는 복음서에도 잘 나타난다. 제자들이 예수께 유월절 만찬을 준비하는 장면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무교절의 첫날에 제자들이 예수께 나아와서 이르되 유월절 음식 잡수실 것을 우리가 어디서 준비하기를 원하시나이까(마 26:17)
무교절의 첫날 곧 유월절 양 잡는 날에 제자들이 예수께 여짜오되 우리가 어디로 가서 선생님께서 유월절 음식을 잡수시게 준비하기를 원하시나이까 하매(막 14:12)
유월절 양을 잡을 무교절 날이 이른지라(눅 22:7)
그러므로 무교절이 시작되는 시점에 대한 레위기 23장의 ‘열 닷샛날’이라는 언급도 출애굽기 12장의 ‘열 나흗날 저녁부터’라는 언급도 유월절은 하루고 무교절은 7일이라는 표현은 모두 맞는 것이다.
출처: https://newwineskin.tistory.com/217 [New Wine Skin]
'목양지에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도네시아 발리 비전학교 부활절 찬양 (0) | 2021.04.06 |
---|---|
레위기의 제사 (0) | 2021.04.05 |
한국교회 백신을 찾아라 - 바른 신학 (0) | 2021.02.05 |
서울동북노회 제4회 부노회장에 출마 (0) | 2020.09.29 |
2019년 정책당회 제주도 (0) | 2019.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