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엽 진다고 나무가 죽지 않듯, 치매 걸렸다고 인생 끝나지 않아
[명작 속 의학] [45] 이미지 회사 셔터스톡 작품

작품은 뇌 노화 과정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한창때는 녹색의 잎사귀가 나무에 무성하다. 그러다 색이 노랗게 바래면서 잎사귀가 드문드문 빈 곳이 생긴다. 나중에는 잎사귀가 낙엽처럼 붉게 물들면서 텅~하니 비어가고, 바닥에는 낙엽이 수북이 쌓여간다. 이는 마치 우리의 인지기능 행로 같다. 젊을 때는 빠릿빠릿하게 돌아가던 머리가 나이 들어 지력을 점차 잃어간다. 그 극단이 치매다.
나무에 낙엽 지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인간 뇌 기능은 노력으로 그 시기를 늦출 수 있다. 뇌도 근육과 같아서 단련할수록 머리를 쓸수록 가동되는 뇌 신경회로 용량을 키울 수 있다. 신경회로가 많으면, 치매 현상으로 상당수 신경회로가 망가지더라도 남아서 가동되는 것들이 일정 수 이상 있기에 일상생활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저수지에 물이 많으면, 가뭄이 와도 바닥이 드러나지 않는 것과 같다.
뇌 신경세포와 회로를 늘리려면 평소 하지 않던 새로운 활동이나 학습을 많이 해야 한다. 안 쓰던 손을 쓰는 것은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이다. 오른손잡이라면 밥 먹을 때나 도구를 사용할 때, 양치질할 때 왼손을 써볼 수 있다. 한 번도 안 가본 동네를 걸으면서 이 가게, 저 가게를 살펴보는 것도 좋다. 새로운 외국어를 공부하면 다양한 뇌 신경회로를 동원하게 된다. 한 번도 배우지 않았던 악기나 춤에 도전하는 것도 권장된다. 매일 사람들과 어울려 대화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일기 쓰기는 단기 기억력을 자극한다.
낙엽이 진다고 나무가 죽는 게 아니다. 치매로 기억을 잃는 것이지, 인생이 지워지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삶과 경험을 뇌에 새겨놓으시라.
'사회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통은 새로 만들어 가는 것이다 - 영화 Englishman (0) | 2023.01.23 |
---|---|
고립 은둔 청년 서울만 13만명 (0) | 2023.01.19 |
홀로 된 할배와 할멈의 차이나는 행복지수 (0) | 2023.01.19 |
치매 7단계 (0) | 2023.01.19 |
몸속 장기 서열 -뇌와 척수, 폐와 심장, 간과 신장... (0) | 2023.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