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6월 전 세계 탄산음료 마니아를 깜짝 놀라게 만든 소식이 전해졌다. 국내에서는 있는 듯 없는 듯 존재감을 이어오던 ‘닥터페퍼’가 지난해 미국 탄산음료 시장에서 펩시콜라를 제치고 2위에 올라선 것. 시장조사 업체 비버리지 다이제스트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탄산음료 시장에서 닥터페퍼는 8.34%의 점유율을 기록해 부동의 2위였던 펩시콜라(8.31%)를 밀어냈다. 코카콜라는 19.18%의 점유율로 선두를 굳게 지켰다. 4위는 스프라이트(8.09%), 5위는 다이어트 코크(7.82%)가 차지했다.
닥터페퍼 캔의 고유 색상은 ‘버건디’다. 코카콜라의 붉은색과 펩시콜라의 푸른색을 섞어 만든 듯하다. 하지만 업력(?)을 따지면 닥터페퍼가 둘의 선배다. 텍사스주 웨이코(Waco)에서 약사로 일하던 찰스 앨더튼(Charles Alderton)이 1885년에 처음 만들어 팔기 시작했다. 코카콜라가 세상에 첫선을 보이기 1년 전이다. 펩시콜라는 그보다 2년 뒤인 1898년 탄생했다. 하지만 닥터페퍼의 인기는 오랫동안 텍사스주를 비롯한 남부 지방에 국한됐다.
공교롭게도 세 음료 모두 약사가 만들었다는 공통점이 있다. 코카콜라는 조지아주 애틀랜타의 약사 존 펨버턴이 두통에 효과가 있는 진통제를 만들기 위해 직접 만든 시럽과 탄산수를 혼합하는 실험을 하다 만들었다. 펩시콜라는 노스캐롤라이나주 출신 약사인 케일럽 브래덤이 제조했다.
엄밀히 따지면 닥터페퍼는 코카콜라·펩시콜라와 결이 다른 음료다. 1963년 미국 연방법원이 콜라의 원료가 되는 콜라나무 열매를 성분에 표기하고 있지 않다는 이유로 “닥터페퍼는 콜라가 아니다”라는 판결을 내렸기 때문이다. ‘탄산과 당도가 센 과일 향 콜라’가 처음 맛본 닥터페퍼를 설명하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겠지만 ‘콜라’ 부분을 빼야 한다면 설명이 쉽지 않다.
코카콜라의 경우도 그렇지만 닥터페퍼의 정확한 성분은 ‘며느리도 모르는’ 일급비밀이다. 제조사인 큐리그 닥터페퍼(KDP)는 닥터페퍼에 23가지 맛과 향이 배어있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표기 성분만 봐서는 그게 뭔지 알 길이 없다. ‘천연 및 인공 향료(natural and artificial flavors·국내에서는 두 종류의 ‘혼합 제제’로 표기 )’라는 애매모호한 문구에 가려져 있기 때문이다. 체리·아몬드·블랙베리·감초·레몬·생강·라즈베리·바닐라·정향(clove)·육두구(nutmeg) 등이 닥터페퍼 마니아 사이에서 단골로 거론되는 23가지 맛의 유력한 후보다.
맛을 떠나서도 알듯 말듯 모호함은 닥터페퍼 고유의 DNA다. 닥터페퍼라는 이름의 기원에 대해서도 정확히 알려진 게 없다. 앨더튼이 버지니아주에 살던 시절 그를 처음 고용한 찰스 페퍼(Charles Pepper)에게 고마움을 표하기 위한 작명이라는 설과 찰스 페퍼가 앨더튼이 교제하던 여성의 부친이었다(호감을 사기 위한 작명)는 설이 유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콜라인 듯 아닌 듯 모호한 정체성은 닥터페퍼가 코카콜라와 펩시코(펩시콜라의 모기업)라는 거대 기업 사이에서 오랜 시간 인기를 유지할 수 있었던 전략 기반이기도 했다. 맥도널드와 KFC 등 국내에도 진출한 패스트푸드 체인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코카콜라가 들어가는 곳에서 펩시콜라도 함께 판매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렵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두 회사 모두 ‘콜라’의 영역에서 독자적이고 배타적인 공급망을 갖추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닥터페퍼는 특유의 모호함 덕분에 유통·공급망을 넓힐 수 있었다. 실제로 미국의 패스트푸드점에는 코카콜라와 닥터페퍼, 펩시콜라와 닥터페퍼를 함께 제공하는 곳이 많다. 샌드위치 체인 써브웨이(Subway) 국내 매장에서도 코카콜라와 닥터페퍼를 함께 판매한다. 닥터페퍼의 국내 판매를 한국코카콜라가 맡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성경과 세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모의 이미지가 하나님의 이미지로 연결/만남의 기독교 교육 (0) | 2024.09.20 |
---|---|
박정희의 경부고속도로, 아이젠하워의 주간고속도로 - 가장 기본이 길이다 (0) | 2024.09.17 |
살려고 무당 되었다는데, 영혼이 죽는 것이다 (0) | 2024.08.31 |
불륜을 고백했는데, 남편은 쉽게 "용서" - 아내는 이것은 용서가 아니다 (0) | 2024.08.23 |
종교 - 예전 교리는 풍족한 시대에 맞지 않다? 개인 행복 돕지 않으면 사라진다는 (0) | 2024.03.18 |